*.ace |
|
|
독일에서 개발된 압축 유틸리티인 Wind Ace의 압축 파일 확장자. Wind Ace는 압축률이 높고 다양한 압축 파일 형식을 지원해 최근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만일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어 압축한다면 파일 확장자는 ACE,C00,C01로 이어지며, 이 경우 ACE파일 하나만 선택해 압축을 해제시키면 나머지 파일들도 연이어 압축이 풀어지게 된다. 윈도우에서는 Winarj,Winzip등의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풀수있다. 도스에서 압축을 해제시 winace x archive *.*]와 같이 명령을 사용하면, archive에 압축되어 있는 모든 파일을 압축 해제하게 된다. |
*.arc |
|
|
ARC, ARCE, PKARC, PKXARC 프로그램으로 묶고 푸는 압축 파일이다.90년대 초반까지 많이 쓰인 압축 포맷이나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arj |
|
|
압축 유틸리티인 ARJ의 압축 파일 확장자로써,rar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가장 뛰어난 압축률과 강력한 파일 나누기 기능을 자랑했다. 일정 용량으로 압축 파일을 나누어 주는 기능이 뛰어나다. rar에 밀려 점차 사용이 줄어드는 형편이다. |
*.diz |
Distributions In Zip의 약어. |
|
압축 파일내에서 주석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
*.lzh |
Lempel Zev Huffman 의 약어 |
|
일본에서 만들어진 압축 포맷이다.압축 유틸리티인 LHA의 압축 파일 확장자 이름. 드물게 프로그램과 압축 파일의 확장자 이름이 다르다.LHA는 도스용 프로그램으로,다른 압축 포맷에 비해 점차 사용률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LHA<명령어><압축될 파일이름>[DIR\][압축할 파일이름] |
*.cab |
|
|
윈도우가 발표되면서 새로 등장한 압축 포맷으로 윈도우가 이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다. 1.44MB의 3.5인치 디스켓에 2.0MB의 분량을 담기위한 것이다. 이 포맷을 사용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워토이(PowerToy)'를 설치하거나 알집같은 국산 압축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
*.pak |
|
|
유닉스용 압축 파일의 확장자로 Packed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초창기 arc와 zip의 개발 공백기에 잠시 동안 압축 유틸리티 시장을 석권했던 압축 프로그램으로 NoGate Consulting 사의 Gus Smedtad가 만든 pak.exe를 이용했다. 지금은 잘 이용되지 않는다. |
*.tar |
TapeArchive의 약자 |
|
1)유닉스의 압축포맷중 하나. 정확히 말하자면 여러 개의 파일을 한데 묶어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한다. tar로 묶은 파일은 다시 gzip 등으로 압축을 해주어야 한다. |
*.rar |
|
|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압축 프로그램인 RAR의 압축 파일 확장자이다. 압축률이 높고 안정적이어서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멀티 압축이 가능하며, 이 경우 확장자는 RAR,001,002순으로 명명된다..인터넷에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국내 통신망에서 주로 사용된다. |
*.gz |
|
|
공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GNU의 gzip 압축 포맷. PC에서는 별로 사용되지 않지만 유닉스에서는 거의 표준처럼 쓰이는 압축 포맷이다. 한가지 단점은 하나의 파일만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tar로 여러 파일을 묶은 다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
*.z |
|
|
유닉스의 표준 압축 포맷. Compress라는 명령으로 만들어진다. GNU의 gzip에 밀려 요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tgz |
|
|
유닉스용으로 tar로 묶은 파일을 gzip으로 다시 압축한 포맷이다. 이를 지원하는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로는 윈집,터보집,집 프로 등이 있다 |
*.uue / uu |
|
|
정확하게 말하자면 압축은 아니다. 바이너리로 된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아스키 파일로 바꾸어주는 uuencode에서 만들어진 파일이다. 파일 포맷 방식은 윈집과 유사하며 UUe의 디코딩 프로그램은 윈집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hgx / hqx |
|
|
매킨토시의 압축 포맷 이다. |
*.zip |
|
|
압축 유틸리티인 PKZIP의 압축 파일 확장자로,PKZip은 빠른 압축, 해제 속도를 가지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압축 유틸리티로 평가받고 있다. |
*.zoo |
|
|
초창기에 사용된 압축 형태로 윈도용으로 개발된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
*.j |
|
|
arj soft에서 arj의 기능을 향상시켜 개발한,jar라는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압축 파일 형식.arj와 호환성이 없고, 압축 효율이나 기능이 arj보다 우수하다. 16 bit Version과 32 bit version이 동시에 제공된다. 명령어 사용법은 arj와 거의 유사하고, 압축시에 [jar a archive]형식의 명령을 해제시에는 [jar x archive] 형식을 이용한다. Disk Spanning( 한개 파일을 여러개의 디스크에 나누어 담는 것 )을 할 경우, 파일 확장자가 .j01, j02, .. 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즉, 파일 확장자가 .j이면 Disk Spanning이 되지 않은 파일인 것이며, disk Spanning이 된 경우에는 .j01이 첫번째 파일인 것이다. winjar라는 압축 프로그램에서도 같은 확장자를 이용하는데, 상호 호환 여부는 아직 모름 |
*.jar |
|
|
자바의 class들을 압축하여 저장한 파일이다.jdk1.2이상의 버전에 jar.exe라는 압축 도구가 포함되어 있어, .jar Format을 관리할 수 있다. |
_z |
|
|
VMS용의 compress에서 이용되는 압축 파일이다. 대략 2.5:1 정도의 압축 율로 줄일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10:1이상으로도 압축 가능하다. |
*.tz |
|
|
유닉스용이며 tar로 묶여진(Group 지워진) 파일을 Gzip으로 압축한 형태. 이를 지원하는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로는 윈집,터보집,집프로등이 있다. |
*.taz |
|
|
유닉스용이며 tar로 묶여진(Group 지워진) 파일을 compress로 압축한 형태. 이를 지원하는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로는 윈집,터보집,집프로등이 있다. |
*.sit |
|
|
매킨토시 에서 이용되는 압축 파일이다. winarj같은 압축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윈도우에서 압축을 풀수 있다. |
*.dcf |
|
|
dcf Soft의 Chang Ping Lee의 의해 제작된 DOS용의 Disk Copy Fast( dcf.exe )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파일 Format으로 플로피 디스크의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
*.ima |
|
|
Gilles Vollant에 의해 만들어진 Windows용의 WinImant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해둔 파일. |
*.dds / ddi |
|
|
DOS용의 diskdupe.exe(Duplicate Disks Fast!)라는 플로피 디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하던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던,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 파일. |
*.omp |
|
|
DOS용의 tomp.exe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Archive. |
*.dwc |
|
|
DOS 용으로 Dean W. Cooper에 의해 만들어진 dwc.exe라는 Archive utility에 의해 생성된 Format. 파일 압축시에 [dwc a archive] 형식의 명령을 이용하며, 압축 해제시에는 [dwc x archive] 형식의 명령을 이용한다. |
*.alz |
alzip의 악자 |
|
이스트소프트사의 - 알집, 압축 파일이며 분할 압축이 장점이다. |
*.bhx / bh |
|
|
BinHex Format. E-Mail 전송에 이용. |
컴퓨터에 대한 모든것™ ⓒ 마이크로밸리